
안녕하세요, 사장님들! 지난번 포스팅에서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더니 많은 분들이 "이제 신청은 했는데, 어떻게 쓰는 건가요?"라고 궁금해하시더라고요.
맞아요, 신청만큼 중요한 게 바로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이죠. 그래서 오늘은 신청 방법부터 크레딧 사용처, 그리고 실제 사용하는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. 이 글만 보시면 50만 원 크레딧을 100% 활용하실 수 있을 거예요! 😊
부담경감 크레딧 신청, 딱 3단계로 끝내기! ✅
아직 신청하지 않으셨다면 이 내용을 꼭 참고하세요. 신청 기간 내에 소상공인24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.
1. 소상공인24 홈페이지 접속: 공동인증서 등으로 간편하게 로그인하세요.
2. 자격 확인 및 카드 선택: 자동으로 확인된 자격 정보를 확인하고, 크레딧 사용을 희망하는 카드 1장을 등록합니다.
3. 신청 완료: 모든 정보를 확인 후 신청 버튼을 누르면 끝!
잘 안된다면 아래 소상공인 진흥공단에서 배포한 메뉴얼을 확인하세요!!
50만원 크레딧, 어떻게 사용하나요? 💳
크레딧은 별도의 바코드나 쿠폰이 아니에요. 신청 시 등록한 카드로 대상 품목을 결제하면, 결제 금액만큼 자동으로 크레딧이 차감되는 방식입니다.
예를 들어, 크레딧이 50만 원 남아있을 때 대상 품목으로 10만 원을 결제하면, 실제 카드 청구 금액은 0원이 되고 크레딧 잔액은 40만 원이 되는 식이죠.
결제 예시 📝
상황: 크레딧 잔액 500,000원
결제: 전기요금 120,000원 등록 카드로 납부
결과: 카드 청구 금액 0원, 크레딧 잔액 380,000원
크레딧 사용처, 이것만 기억하세요! 💡
크레딧은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, 소상공인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목적에 맞게 정해진 곳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.
- 공과금 납부: 전기, 도시가스, 상수도 요금
- 사회보험료 납부: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 (4대 사회보험료)
- 세금 납부: 부가가치세, 소득세 등 국세 및 지방세 (단, 카드 납부가 가능한 세금에 한함)
- 기타: 노란우산공제 납입금
일반적인 식자재 구매, 가게 운영에 필요한 비품 구매 등에는 크레딧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. 반드시 지정된 사용처에서만 사용된다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.
자주 묻는 질문 ❓






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은 사장님들의 고정 비용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여주는 아주 좋은 제도예요. 신청하셨다면 오늘 알려드린 사용처와 방법을 잘 기억하셔서 남김없이 모두 사용하시기를 바랍니다.
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봐 주세요! 😊