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부터 사용처까지 총정리

by 스으담 2025. 8. 1.
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50만원, 신청부터 똑똑한 사용법까지 한 번에 끝내기! 신청만 하고 끝이 아니죠. 이 글에서 크레딧 사용처와 사용방법을 명확히 알아보고, 매달 지출되는 고정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여보세요. 💰

 

안녕하세요, 사장님들! 지난번 포스팅에서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더니 많은 분들이 "이제 신청은 했는데, 어떻게 쓰는 건가요?"라고 궁금해하시더라고요.

 

맞아요, 신청만큼 중요한 게 바로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이죠. 그래서 오늘은 신청 방법부터 크레딧 사용처, 그리고 실제 사용하는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. 이 글만 보시면 50만 원 크레딧을 100% 활용하실 수 있을 거예요! 😊

 

부담경감 크레딧 신청, 딱 3단계로 끝내기! ✅

아직 신청하지 않으셨다면 이 내용을 꼭 참고하세요. 신청 기간 내에 소상공인24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.

 

1. 소상공인24 홈페이지 접속: 공동인증서 등으로 간편하게 로그인하세요.

 

 

 

 

2. 자격 확인 및 카드 선택: 자동으로 확인된 자격 정보를 확인하고, 크레딧 사용을 희망하는 카드 1장을 등록합니다.

3. 신청 완료: 모든 정보를 확인 후 신청 버튼을 누르면 끝!

 

잘 안된다면 아래 소상공인 진흥공단에서 배포한 메뉴얼을 확인하세요!!

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메뉴얼.pdf
2.99MB
 

50만원 크레딧, 어떻게 사용하나요? 💳

크레딧은 별도의 바코드나 쿠폰이 아니에요. 신청 시 등록한 카드로 대상 품목을 결제하면, 결제 금액만큼 자동으로 크레딧이 차감되는 방식입니다.

예를 들어, 크레딧이 50만 원 남아있을 때 대상 품목으로 10만 원을 결제하면, 실제 카드 청구 금액은 0원이 되고 크레딧 잔액은 40만 원이 되는 식이죠.

결제 예시 📝

상황: 크레딧 잔액 500,000원
결제: 전기요금 120,000원 등록 카드로 납부
결과: 카드 청구 금액 0원, 크레딧 잔액 380,000원

 

크레딧 사용처, 이것만 기억하세요! 💡

크레딧은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, 소상공인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목적에 맞게 정해진 곳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.

  • 공과금 납부: 전기, 도시가스, 상수도 요금
  • 사회보험료 납부: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 (4대 사회보험료)
  • 세금 납부: 부가가치세, 소득세 등 국세 및 지방세 (단, 카드 납부가 가능한 세금에 한함)
  • 기타: 노란우산공제 납입금
⚠️ 주의하세요!
일반적인 식자재 구매, 가게 운영에 필요한 비품 구매 등에는 크레딧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. 반드시 지정된 사용처에서만 사용된다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.
 

자주 묻는 질문 ❓

Q: 크레딧 사용에도 기간 제한이 있나요?
A: 네, 크레딧은 신청 후 1년 이내에 사용해야 합니다. 기간이 지나면 자동 소멸되니 꼭 기간 내에 모두 사용해 주세요.
Q: 카드 결제 금액보다 크레딧이 많으면 어떻게 되나요?
A: 결제 금액만큼 크레딧이 차감되며, 잔액은 다음 결제 시 자동으로 사용됩니다.
Q: 여러 개의 카드를 등록할 수 있나요?
A: 아니요, 크레딧은 신청 시 등록한 카드 1장에만 연동됩니다.

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은 사장님들의 고정 비용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여주는 아주 좋은 제도예요. 신청하셨다면 오늘 알려드린 사용처와 방법을 잘 기억하셔서 남김없이 모두 사용하시기를 바랍니다.

 

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봐 주세요! 😊